본문바로가기
쓰레기 종량제
쓰레기 없는 쾌적한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95년 1월부터 실시한 제도로 주택의 크기 또는 재산 세액에 따라 차등적으로 수수료를 적용하던 기존의 제도와 달리, 본인이 버린 쓰레기의 양만큼 비용을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스스로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품도 최대한 분리 배출하도록 한 제도입니다.

쓰레기 규격봉투 가격표

(금액:원)

쓰레기 규격봉투 가격표에 대하여 구분(소각용봉투-붉은색, 매립용봉투-흰색, 음식물쓰레기봉투-노란색), 규격(판매가격), 2L, 5L, 10L, 20L, 마대, 50L, 75L, 120L, 비고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구분 규격 2ℓ 5ℓ 10ℓ 20ℓ 마대 50ℓ 75ℓ 120ℓ 비고
소각용
봉투(붉은색)
판매가격 - 120 210 390   960 1,470 - 기존 초록색 종량제봉투 소각용으로 사용가능
매립용
봉투(횐색)
- 120 210 390 600 - - -  
음식물쓰레기
봉투(노란색)
60 150 300 600   - - 3,600 음식물종량기기(RFID)
35원/kg

시민이 지켜야 할 사항

수거요일 지정에 따른 쓰레기 배출요일 준수
생활쓰레기 배출 요일표 _ 토요일은 모든 쓰레기 배출 금지! (일반쓰레기) 일 : 타는 쓰레기 / 월 : 안타는 쓰레기 / 화 : 타는 쓰레기 / 수 : 타는쓰레기 / 목 : 안타는 쓰레기 / 금 : 타는 쓰레기 / _ (재활용품) 일~금 배출가능 . 종류별, 재질별 분리 후 배출해주세요. _ (음식물쓰레기) 일~금 배출 가능. 이물질 제거 후 배출해주세요. ※ 모든 쓰레기는 저녁에 배출해주세요. ※ 매일 수거되지 않는 지역은 배출요일제가 적용되지 않아요. _ 영주시환경보호과 (전화)639-6771 (민원콜센터) 639-7777
  • 일반쓰레기는 종량제 봉투에 담고, 음식물쓰레기는 음식물 전용수거 용기에 담아 해가 진 후(밤)부터 24:00시까지 배출해야 하며, 일요일은 휴무이므로 토요일에는 쓰레기를 내놓아서는 안됩니다.
  • 재활용품은 종류별로 분리하여 내용물이 보이는 투명 봉지에 담아 매주 월 · 목요일에만 배출하여야 합니다.
    (일반쓰레기와 재활용품은 반드시 분리하여 요일별로 지정된 쓰레기만 배출하여야 합니다.)
이럴때는 쓰레기를 수거하지 않습니다.
  • 일반쓰레기와 재활용품을 분리배출하지 않은 경우
  • 일반쓰레기 배출시 규격봉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 스티커 부착 없이 대형폐기물(냉장고, 장롱, 책상 등)을 배출한 경우
기타사항
  • 종량제 규격봉투를 사용하지 않고 배출하거나 무단투기 및 소각행위 시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빨리 처리 청소민원 서비스 이용안내
청결한 생활환경 조성 및 시민 불편사항 해소를 위하여 무단투기된 쓰레기 및 거점수거 이후 배출된 쓰레기에 대하여 여러분들의 주문(신고)시 즉시 수거하고 있으니 많은 이용바랍니다.

주문(신고)대상 쓰레기

  • 도로변, 주택가, 공터 등에 무단 투기된 쓰레기
  • 미수거된(종량제 봉투에 담겨진) 쓰레기

접수창구

영주시 환경보호과 (☏ 639-6771)
생활쓰레기 수거대행 업체
이 표는 생활쓰레기 수거대행 업체에 대하여 구분, 업체명, 대표자, 주소, 연락처, 수거구역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구분 업체명 대표자 주소 연락처 수거구역
1권역 ㈜삼우환경 박영섭 지천로 29 사무실 636-5843 (F.636-5843) 풍기읍, 순흥면, 단산면, 부석면, 휴천1동
2권역 ㈜영주환경 박훈래 창진로 116 사무실 631-0768 (F.635-0768) 이산면, 평은면, 영주1동, 가흥1동
3권역 ㈜푸른환경 김미자 조암로43번길 88 사무실 634-7676 (F.635-3439) 안정면, 봉현면, 상망동, 영주2동, 휴천2동
4권역 ㈜우리환경 권오근 반지미로 236-7 사무실 631-0064 (F.638-0711) 문수면, 장수면, 하망동, 휴천3동, 가흥2동
최신뉴스 더보기
영주시, 배움이 일상인 도시를 만들다
경북 영주시의 평생학습을 통한 지역 정체성 및 시민 능......
‘에너지로 행복한 영주’…영주시, 3년 연속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사업’ 선정
경북 영주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
영주시 구 토지‧임야대장 한글화 사업 완료
영주시는 한자로 작성돼 읽기 어려웠던 구(舊) 토지&m......
영주시, 경기도 안산시와 친선‧자매결연 협약 체결
영주시(시장 박남서)와 경기도 안산시(시장 이민근)가 ......
소백산 기운 담은 영주시 농특산물을 한 자리에…‘영주장날 농특산물대축제’ 성료
경북 영주시(시장 박남서)는 지난 27일부터 29일까지......
영주시, 영주댐 관광 활성화에 적극 나선다
경북 영주시가 영주댐 종합관광 활성화를 위해 국내 우수......
“영주 풍기인삼 최고” 건강축제 인기 재확인
지난 7일부터 9일간 쉼 없이 달려온 제26회 경북영주......
대한민국 모두가 건강해지는 그날까지…‘2023경북영주 풍기인삼축제’ 개최
청정자연 환경의 보고이자 국내 최대 인삼 생산지인 영주......
시민의 마음 하나로 모은 ‘영주시원(ONE)한마당’ 성료
지난 23~24일 문정둔치서 열린 ‘2023......
‘영주 첨단베어링 국가산업단지’ 최종 승인…경북 북부권 첫 국가산업단지 탄생
영주시가 첨단산업도시의 날개를 달았다. &nbs......
‘7년 숙원’ 영주댐 드디어 준공, 영주발전 ‘새역사’ 쓴다
10만 영주시민의 오랜 염원이었던 영주댐 준공이 드디어......
영주댐 8월 내 준공, 지역 경제·관광산업 탄력 기대
7년간 지체됐던 영주댐 준공이 눈앞으로 다가오며 영주시......
영주시 수해 응급 복구율 92%…일상 회복 총력
경북 영주시는 지난달 내린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응급 ......
영주시, SK스페셜티(주)와 대규모 투자유치 협약 체결
SK스페셜티(주)의 대규모 투자가 영주 지역경제에 새로......
추경호 경제부총리, 영주시 호우피해 현장 찾아…박남서 시장과 현안 논의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1일 오후 2시 ......
영주시, 집중호우에 따른 농작물 사후관리 철저 당부
영주시는 집중호우가 지속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피해......
영주시 보건소, 호우피해 주민 건강관리에 앞장서
영주시 보건소는 의료지원과 방역 활동으로 집중호우로 피......
영주시, 집중호우 “피해 최소화 총력”
경북 영주시는 13일부터 시작된 집중호우 피해 최소화를......
영주시 민선8기 1주년 “새로운 변화의 시작”
‘선비의 품격 도약하는 영주’를 ......
영주 소백산철쭉제 폐막…“연분홍 철쭉 향연 선사”
연분홍빛 철쭉이 절정에 이룬 지난 주말(27~28일),......
2023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 선비문화도시 알리며 폐막
대한민국 대표 문화축제인 2023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가......
새로운 2023영주 한국선비문화축제…도시 전체가 축제장
봄을 맞은 영주시가 축제로 들썩인다. 대한민국을 대표하......
영주시, 기초단체장 공약 실천 평가 ‘최고등급’ 받아
경북 영주시가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주관 ‘......
4년만의 영주소백산마라톤대회, 영주의 봄을 달렸다
전국 10대 메이저 대회인 ‘2023영주소백......
영주시, 선비정신 갖춘 글로벌 인재 양성 주력
최초의 사액서원 소수서원에서 수많은 인재를 양성한 전통......
농특산물 판로 개척나선 영주, 홈플러스 內 ‘The 영주(영주 농특산물 전용 상설매장)‘로 대도시 소비자 공략
경북 영주에서 생산되는 농‧특산물 전용 상설매장 &ls......
영주시, ‘생활밀착형 체육시설’ 기반 확충에 642억원 투입
경북 영주시가 시민 모두가 누리는 생활밀착형 체육시설 ......
영주시, ‘순흥 벽화고분’ 정비 시작…내년부터 113억원 투입
경북 영주시(시장 박남서)는 사적 ‘순흥 벽......
영주시 작물실증시험장‧바이오센터 통해 ‘농업 새 돌파구’ 마련
경북 영주시(시장 박남서)가 새롭게 조성한 작물실증시험......
영주시보건소, 코로나로 움츠렸던 건강증진사업 본격 재개
경북 영주시가 오는 30일 정부의 실내마스크 의무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