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육료 지원

보육료 지원자격(수급권자)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자로, 주민등록법에 의해 주민등록번호를 정상적으로 부여받은 만 0~5세 아동

    참고난민은 예외적으로 보육료 · 양육수당 지원대상에 포함

    참고주민등록법 제6조1항3호에 따라 주민등록번호를 발급받거나, 동법 제19조제4항에 따라 재외국민으로 등록ㆍ관리되는 자(재외국민 출국자는 제외)는 보육료 · 양육수당 지원대상에 포함

  • 사회복지전산관리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 거주불명등록가구의 아동
    보육료지원 자격-거주불명등록가구의 아동에 관한 표이며 구분( 만0~5세, 취학아동(방과후보육료) ), 기준일자 순으로 나타낸 표입니다.
    구분 기준일자
    만0세아 ‘22. 1. 1. 이후 출생
    만1세아 ‘21. 1. 1. ~ ‘21. 12. 31
    만2세아 ‘20. 1. 1. ~ ‘20. 12. 31
    만3세아 ‘19. 1. 1. ~ ‘19. 12. 31
    만4세아 ‘18. 1. 1. ~ ‘18. 12. 31
    만5세아 ‘17. 1. 1. ~ ‘17. 12. 31
    (취학유예아동인 경우 ‘16. 1. 1. ~ ‘16. 12. 31)
    취학아동(방과후보육료) ‘16. 1. 1. ~ ‘10. 12. 31
보육료 지원금액
보육료 지원금액을 자격구분, 지원대상, 지원비율, 연령, 정부지원단가(기본보육, 야간, 24시)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입니다.
자격구분 지원대상 지원비율 연령 정부지원단가
기본보육 야간 24시
영유아 어린이집 이용
만 0 ~ 5세
100% 만0세반 514,000 514,000 771,000
만1세반 452,000 452,000 678,000
만2세반 375,000 375,000 562,500
만3세반 280,000 280,000 420,000
만4세반 280,000 280,000 420,000
만5세반 280,000 280,000 420,000
장애아 보육료
  • 지원대상 : 장애인복지카드(등록증)를 소지한 만12세 이하의 미취학 장애아동
  • 지원단가 : 장애아반에 편성된 아동은 559천원, 일반아동반에 편성된 아동은 해당 반별 보육료 상한액
다문화 보육료
  • 지원대상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제1호에 따른 다문화가족 자녀 중 초등학교 취학전 만5세 이하 아동, 가구의 소득 · 재산수준과 관계없이 보육료 지원
  • 지원금액 : 연령별 보육료 정부지원단가
  • 지원시기 : 보육료는 신청일 기준으로 지급

가정양육수당지원

  • 지원대상 : 어린이집 · 유치원(특수학교 포함) · 종일제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가정 양육 아동 (※ 2021. 12. 31일 이전 출생아)
  • 지원연령 : 초등학교 미취학 86개월 미만 전 계층 아동
  • 지원금액
    가정양육수당지원에 관한 표이며 연령별(개월), 양육수당, 농어촌양육수당, 장애아동양육수당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표입니다.
    연령(개월) 양육수당 농어촌양육수당 장애아동 양육수당
    0 ~ 11 200천원 200천원 200천원
    12 ~ 23 150천원 177천원
    24 ~ 35 100천원 156천원
    36 ~ 47 129천원 100천원
    48 ~ 86 100천원
  • 지원기간 : 시 · 군 · 구가 양육수당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날이 속한 달부터 아동의 초등학교 취학년도 2월까지 지급
  • 90일 이상 해외에 장기 체류하고 있는 영유아의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양육수당 지급을 정지, 재입국시에는 자격 재책정 이후 지원
  • 지급일 : 매월 25일(토 · 일요일 ·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전일에 지급)

부모급여지원(2022년생부터 지원)

  • 지원대상 : 어린이집 ·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가정 양육 아동

    참고‘22년 도입된 영아수당을 부모급여로 확대, 기존 영아수당 수급자는 ‘23년 별도 신청 필요없음

    • 2022년 출생아부터 만 0~1세
  • 지원금액 : 만0세 월 70만원, 만1세 월 35만원('23년 기준)
  • 지원기간 : 0~23개월(양육방식 변경 시 반드시 해당 서비스 변경신청 필요)
  • 지급방식 : 가정양육 시 현금지급, 어린이집 재원 시 만0세는 보육료 바우처(51.4만원) + 현금(18.6만원), 만1세는 보육료 바우처 지급
  • 90일 이상 해외에 장기 체류하고 있는 영유아의 경우에는 해당 기간 동안 양육수당 또는 부모급여 지급을 정지, 재입국시에는 자격 재책정 이후 지원
  • 지급일 : 매월 25일(토 · 일요일 ·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전일에 지급)
페이지 담당자아동청소년과 이유나 ( 054-639-6084 ) 페이지 수정일 : 2023-02-13 만족도 평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의견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