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작게 글자크기 글자크게 페이스북 X(엑스) 인쇄

현재페이지 1 / 전체페이지 4

  • 안부-간찰에 얹어 보내는 사계절

    관광개발단

    안부-간찰에 얹어 보내는 사계절  

    소수서원 파격(罷格) 논쟁 전시기간 2025.3.1.(토) ~ 2025.5.25.(일) 전시장소 소수박물관 본관 1층 홀 출입구 앞 전시장 전시내용 학계의 최신 연구성과를 반영하여 “소수서원 파격(罷格) 논쟁”을 주제로 소수박물관 소장유물 “창석집(蒼石集)”을 소개하고자 한다. 17세기 초 풍기군수를 역임한 이준(李埈)은 과거 입격자(入格者) 중심의 입원(入院) 규정은 개정되어야 한다는 파격론(罷格論)을 처음으로 제기하였는데, 그의 문집 “창석집” ‘유백운동원장문(諭白雲洞院長文)’에 파격의 근거가 상세히 제시되어 있다.

  • 화양연화_꽃처럼 아름다운 시절

    관광개발단

    화양연화_꽃처럼 아름다운 시절  

    화양연화_꽃처럼 아름다운 시절 전시기간 2024.5.4.(토) ~ 2025.1.31.(금) 전시장소 소수박물관 별관 기획전시실 전시내용 소수박물관에서는 특별기획전 <화양연화_꽃처럼 아름다운 시절>을 개최합니다. 이번 전시는 혼인하여 아이가 태어나고, 또 아이가 자라서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을 유물로 자연스럽게 풀어나가 관람객들이 “꽃처럼 아름다운 시절”을 즐길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1부 “혼인, 새로운 인연을 맺다”에서는 혼례에 관한 이야기를, 2부 “성장, 어른이 되다”는 새 생명인 아이가 태어나고, 또 아이가 성장하여 어른이 되었음을 알리는 관례까지의 이야기로 구성하였습니다.

  • 선비, 꿈과 이상을 걸다. 현판懸板

    관광개발단

    선비, 꿈과 이상을 걸다. 현판懸板  

    선비, 꿈과 이상을 걸다. 현판懸板 전시기간 2023. 5. 31.(수) ~ 2024. 2. 29.(목) 전시장소 소수박물관 별관 기획전시실 전시내용 소수박물관에서는 소수서원과 영주지역의 옛 건물에 걸렸던 편액扁額, 명언이나 각종 기록을 담은 기판記板, 시를 담은 시판詩板 등 50여점의 유물들을 중심으로 '선비, 꿈과 이상을 걸다. 현판懸板' 특별전을 개최합니다. 특별전은 3부로 구성되었습니다. 1부에서는 '배우고 새기다'라는 주제로, 소수서원, 의산서원 등 서원에 걸렸던 현판들을 소개하였습니다. 2부는 '추모, 기리다'라는 주제로, 사당과 재실에 걸렸던 현판들을 소개하였고, 3부는 '머물며, 수양하다'라는 주제로, 영주 지역의 고택과 정자에 걸렸던 현판에 담긴 의미를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 봉환奉還, 받들어 모시고 돌아오다.

    관광개발단

    봉환奉還, 받들어 모시고 돌아오다.  

    봉환奉還, 받들어 모시고 돌아오다. 전시기간 2022. 10. 11. ~ 2023. 5. 7. 전시장소 소수박물관 별관 기획전시실 전시내용 소수박물관에서는 2021년 소수서원으로 돌아온 고문서 11책 환수를 기념하여, 환수 고문서 및 서원의 기록문화를 보여 줄 수 있는 유물을 중심으로 '봉환奉還, 받들어 모시고 돌아오다' 특별전을 개최합니다. 특별전은 3부로 구성되었습니다. 1부에서는 원외院外로 흩어졌던 서책들이 서원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과정과 반환된 서책들을 소개하였습니다. 2부에서는 긴 시간 동안 소수서원의 건물, 서책, 영정影幀 등이 어떻게 관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는지 기록을 통해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3부에서는 통문通文을 통해 당시 소수서원의 소통과 교류에 대해 알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 백성을 치유한 선비의사, 유의儒醫

    관광개발단

    백성을 치유한 선비의사, 유의儒醫  

    백성을 치유한 선비의사, 유의儒醫 전시기간 2022. 7. 12. ~ 2022. 8. 31. 전시장소 소수박물관 별관 기획전시실 전시내용 소수박물관에서는 한국국학진흥원 유교문화박물관과 ‘백성을 치유한 선비의사, 유의儒醫’ 공동특별전을 개최합니다. 이번 특별전은 전 세계를 뒤 흔든 ‘코로나19’의 여파 속에서, 전문 의료인은 아니었지만 이른바 ‘유의’로 불린 선비의사들의 활약상을 통해 조선시대에는 어떻게 역병에 대처하였는지 살펴보고자 기획되었습니다.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 :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관리 담당부서 소수서원관리사무소 연락처054-639-796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