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암사 서부도
초암사 서부도는 방형의 지대석 위에 단엽의 복련을 돌린 하대석을 얹었는데 지대석과 하대석은 한돌에 새겼다.
중대석은 8각 모서리에 우주를 표시하고 각면은 안상이 음각되어 있다.
옥신은 8각기둥으로 되어 있고, 상대석은 앙련으로 장식하였다. 옥개석 하면에 얕고 넓은 홈을 8각으로 돌아가며 팠고, 전각의 반전이 경쾌하며, 상면에는 복엽연화문을 장식하여 상륜부를 받치도록 하였다.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고 다만 보주형의 연봉만 놓여 있다. 각부 조각 등으로 보아 동쪽 부도보다 시대가 내려오는 작품으로 추정된다.
초암사 동부도
초암사 동부도는 팔각원당형의 통일신라시대 일반형 부도로 요사채 앞에 세워져 있는데 도괴된 것을 다시 복구하면서 각 부재가 혼재된 상태이다. 옥신과 중대석이 뒤바뀌었고 상대석도 뒤집혀진 상태이다.
8각의 지대석 각면에는 안상이 음각되었고 역시 8각인 하대석의 모서리로는 복판의 복련을 돌렸다.
하대석의 상단으로 3단의 괴임이 만들어져 중대석을 받치고 있다. 중대석은 팔각모서리에 우주가 새겨져 있고, 상대석은 단엽의 앙련이 돌려져 있으며 2단의 몰딩이 옥신을 괴이하도록 하였다. 탑신의 괴임돌로 1단의 별석이 끼워져 있고, 옥신은 팔각의 4면에 문호가 음각되어 그 안에 자물쇠가 양각으로 표현되어 있다. 옥개석은 밑바닥에 팔각의 선을 둘러 서까래와 부연의 마무리선처럼 하였다.
낙수면의 끝면은 선으로 둘렀으며, 기와골은 없지만 우동은 뚜렷하게 표현되었다. 옥개석의 상단에는 8엽의 단엽복련을 두르고 다시 1단의 몰딩으로 상륜을 받도록 하였는데, 상륜부는 깨어져 없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