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수당TOP
주요 사업명 | 지원대상 | 지원내용 | 비고 |
---|---|---|---|
1-1. 장애인연금 (장애인연금법상 중증장애인) |
|
|
읍·면·동에 신청 |
1-2. 장애수당 및 장애아동수당 |
|
|
읍·면·동에 신청 |
연금TOP
구분 | 18 ~ 64세 | 65세 이상 | ||||
---|---|---|---|---|---|---|
기초급여 | 부가급여 | 합계 | 기초급여 | 부가급여 | 합계 | |
생계·의료급여수급자(재가) | 342,510원 | 90,000원 | 423,850원 | 기초연금으로 전환(별도신청) | 432,510원 | 432,510원 |
생계·의료급여수급자(시설) | 342,510원 | - | 342,510원 | - | - | |
주거·교육급여수급자, 차상위 | 342,510원 | 80,000원 | 422,510원 | 80,000원 | 80,000원 | |
차상위 초과 | 342,510원 | 30,000원 | 372,510원 | 50,000원 | 50,000원 |
참고참고참고개인의 상황에 따라 연금액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보육·교육TOP
주요사업명 | 지원대상 | 지원내용 | 비고 |
---|---|---|---|
2-1. 장애아 보육료 지원 |
|
|
읍·면·동에 신청 |
2-2. 장애아동 양육수당 |
|
|
읍·면·동에 신청 |
2-3. 여성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
|
|
읍·면·동에 신청 |
건강 및 의료지원TOP
주요사업명 | 지원대상 | 지원내용 | 비고 |
---|---|---|---|
3-1. 장애인 의료비 지원 |
|
|
의료급여증 및 장애인등록증 제시 |
3-2. 장애진단서 발급비 지급 |
|
|
시·군·구에서 의료기관에 직접 지급 또는 읍·면·동에 신청 |
3-3. 장애검사비 지원 |
|
|
읍·면·동에 신청 |
3-4. 보장구 건강보험급여(의료급여) 적용 |
|
|
|
3-5. 발달재활 서비스 |
|
|
읍·면·동에 신청 |
3-6.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 |
|
|
읍·면·동에 신청 |
3-5의 발달재활 서비스 제공기관 지정 현황
제공기관 명 | 대표자 | 전화번호 | 주소 |
---|---|---|---|
안도현언어심리발달센터 | 안도현 | 054-633-7588 | 영주시 광복로 74, 3층 |
영주언어심리상담센터 | 김미경 | 054-632-0690 | 영주시 구성로 184 |
늘품아동발달센터 | 조영미 | 054-917-5005 | 지천로187번길 13 |
선발달상담센터 | 김선경 | 070-7311-3447 | 영주시 지천로 180-1, 2충 |
봄언어심리상담센터 | 엄수진 | 054-631-0137 | 영주시 대동로13번길 2-23, 2층 |
다소미언어발달상담센터 | 안아름 | 0507-1497-2592 | 영주시 원당로179번길 47, 1층 코너쪽 |
3-5의 제공기관별 서비스 단가
제공기관 명 | 기관 내 / 재가방문 서비스(1회당 단가) | |||||||
---|---|---|---|---|---|---|---|---|
언어 | 청능 | 미술심리 | 음악 | 행동발달 | 놀이심리 | 재활심리 | 감각발달 | |
안도현언어심리발달센터 | 45,000원 / 62,500원 | 45,000원 / 62,500원 | 45,000원 / 62,500원 | 45,000원 / 62,500원 | 45,000원 / 62,500원 | 45,000원 / 62,500원 | ||
영주언어심리상담센터 | 45,000원 / 62,500원 | 40,000원 / 62,500원 | 40,000원 / 62,500원 | 40,000원 / 62,500원 | 40,000원 / 62,500원 | |||
늘품아동발달센터 | 45,000원 / 55,000원 | |||||||
선발달상담센터 | 45,000원 | 45,000원 | ||||||
봄언어심리상담센터 | 50,000원 | 50,000원 | ||||||
다소미언어발달상담센터 | 50,000원 / 62,500원 | 50,000원 / 62,500원 | 50,000원 |
서비스TOP
주요사업명 | 지원대상 | 지원내용 | 비고 |
---|---|---|---|
4-1. 장애인 활동 지원 |
|
|
읍·면·동에 신청 |
4-2. 장애아 가족 양육 지원 (1~3급) |
|
|
읍·면·동에 신청 |
4-4. 방송수신기 무료보급 |
|
|
한국방송통신 전파진흥원(1688-4596) |
4-5. 장애인 방송 시청 지원 |
|
|
시청자미디어 재단(02-6900-8322) |
|
|
||
4-6. 공동주택 특별 분양 알선 |
|
|
시·도 및 읍·면·동에 신청 |
4-7. 농어촌 장애인 주택개조 지원 |
|
|
읍·면·동에 신청 |
4-8. 실비 장애인 생활시설 입소 이용료 지원 |
|
|
시·군·구에서 해당시설에 지원 |
4-9. 특별 교통수단 운행 |
|
|
시·군·구 및 읍·면·동에 문의 |
일자리 융자지원TOP
주요사업명 | 지원대상 | 지원내용 | 비고 |
---|---|---|---|
5-1. 장애인 일자리 지원 |
|
|
시·군·구 (읍·면·동) 및 위탁기관에서 공개모집 |
5-2. 취업알선 지원 |
|
|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 신청 |
5-3. 장애인 생산품 판매시설 운영 지원 |
|
|
한국장애인직업재활시설협회에 문의 |
5-4.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지원사업 수행기관 운영 지원 |
|
|
사업 수행기관(장애인복지관, 단체, 직업재활 시설 등) 내방, 전화 등으로 이용 신청 |
5-5. 장애인 직업재활 시설 운영 |
|
|
시·군·구에 상담 |
5-6. 장애인자립 자금 대여 |
|
|
읍·면·동에 신청 |
공공요금 관련TOP
주요사업명 | 지원대상 | 지원내용 | 비고 |
---|---|---|---|
6-1. 차량 구입시 도시 철도채권 구입 면제 |
|
|
관할 시·군·구청 차량등록 기관에 신청 (자동차판매사 영업사원에게 문의) |
6-2. 국공립공연 관람료 할인 |
|
|
등록증 제시 |
6-3.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감면 |
|
|
장애인등록증 (복지카드)제시 |
6-4. 철도·도시철도 요금 감면 |
|
|
등록증 제시 |
6-5. 유선통신 요금 감면 |
|
|
해당 통신회사에 신청 |
6-6. 이동통신 요금 감면 |
|
|
해당 통신회사에 신청 |
6-7. 시·청각 장애인 TV 수신료 면제 |
|
|
주소지 관할 한전지사 및 읍·면·동에 신청 |
6-8. 연안여객선 여객운임 할인 |
|
|
장애인등록증 (복지카드) 제시 한국해운조합 (☎02-6096-2044) |
6-9.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
|
|
할인카드 발급 신청: 읍?면?동 사무소 감면단말기 지문정보 입력: 읍?면?동 사무소 및 한국도로공사 지역본부 |
6-10. 전기요금 할인 |
|
|
한국전력 관할지사ㆍ지점에 신청 (방문,전화) |
6-11. 도시가스 요금 할인 |
|
|
지역별 도시가스 지사·지점에 신청(방문,전화) |
6-12. 장애인 자동차 검사수수료 할인 |
|
|
장애인등록증 제시 |
참고참고참고지원내용 중 일부 변경 사항 있을 수 있음
세제혜택TOP
주요사업명 | 지원대상 | 지원내용 | 비고 |
---|---|---|---|
7-1. 승용자동차에 대한 개별소비세 면제 |
|
|
자동차 판매인에게 상담 국세청소관 관할 세무서 |
7-2. 장애인용 차량에 대한 취득세(종전 등록세 포함) 자동차세 면제 |
|
|
시·군·구청 세무과에 신청 |
7-3. 승용자동차 LPG 사용 허용 |
|
|
시·군·구 차량등록 기관에 신청 |
7-4. 자동차분 건강보험료 전액 면제 |
|
|
국민건강보험공단지사에 문의 |
7-5. 소득세 공제 |
|
|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신고시 공제신청 국세청 126 |
7-6. 장애인 의료비 공제 |
|
|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 신고시 공제신청 세무서 문의 |
7-7. 상속세 상속 공제 |
|
|
관할 세무서에 신청 |
7-8. 장애인 특수교육비 소득공제 |
|
|
연말정산 또는 종합소득 신고시 공제신청 |
7-9. 증여세 과세가액 불산입 |
|
|
관할 세무서에 신청 |
7-10. 장애인 보장구 부가가치세 영세율 적용 |
|
|
별도신청 없음
참고텔레비전 자막수신기 (국가·지방 자치단체·한국농아인 협회의 구매시) |
7-11. 장애인용 수입물품 관세 감면 |
|
|
통관지 세관에서 수입신고시에 관세면제 신청 |
7-12. 특허출원료 또는 기술 평가청구료 등의 감면 |
|
|
출원, 심사청구, 기술평가청구, 심판청구시 또는 등록시 특허청에 감면 신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