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본래 있던 곳이 어딘지 알 수 없으나 이곳으로 오기 전에는 경상북도 영주시 휴천동 동부초등학교 교정에 있던 것이다. 머리가 없어진 것을 1985년에 새로 만들어 붙였다.
양 발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발바닥이 하늘을 향한 자세로 앉아 있으며, 옷은 양쪽 어깨에서 팔 아래로 흘러내려 다리를 감싸고 있다.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臺座)는 본래의 것인지 알 수 없으나 상대·중대·하대가 모두 8각으로 되어 있으며, 중대석과 하대석의 측면에는 눈 모양의 안상(眼象)이 새겨져 있다.
전체적인 조각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길찾기 및 주변정보
-
-
-
-
-
-
-
-
-
-
-
-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
- 경북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1439-30, 산106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흑석사 석조여래좌상
- 경북 영주시 이산면 이산로 390-40 (석포리)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만취당김개국종중소장전적및책판
- 경북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165번지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향교 대성전
- 경상북도 영주시 명륜길 76 (하망동, 영주향교)
위치보기 상세보기
-
-
-
-
- 영주 원리 도율종중 고택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로181번길 2-8 (이산면)
위치보기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