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장도(粧刀)는 몸에 지니는 조그마한 칼로서 남녀 구별없이 호신용 또는 장신구로 사용되었고 장도를 만드는 기술과 그 기술을 가진 사람을 장도장이라 한다.
고려시대부터 성인 남녀들이 호신용으로 지니고 다녔으며 특히 임진왜란(1592) 이후부터 사대부 양반가문의 부녀자들이 순결을 지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휴대했다. 조선 후기 이후부터는 손칼로서의 실질적인 기능보다 상징성과 장식성이 강조되어 여인들의 노리개장식 일부가 되면서 정교하고 화려한 장도가 다양하게 만들어졌다.
장도 중에서 몸에 차고 다니는 것을 패도(佩刀)라 하고, 주머니 속에 넣고 다니는 것을 낭도(囊刀)라 한다. 장도의 종류는 칼자루와 칼집의 종류에 따라서 은(銀)장도, 백옥(白玉)장도, 죽(竹)장도, 먹감장도, 오동(烏銅)장도, 대모(玳瑁)장도, 상아(象牙)장도 등이 있고, 형태로는 원통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이 있다.
호신과 장식의 구실을 한 장도는 조선 중기 이래 영주지방의 장도장이 유명했다. 김일갑씨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장도제작 기능을 전수받은 영주지방 유일의 전승자로 경상북도에서는 김일갑씨를 무형문화재로 인정하여 장도공예기술을 보전하고 있다.
길찾기 및 주변정보
-
-
- 영주 일우정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로938번길 25 (이산면)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야성송씨 괴동재사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강동리 262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안향 향려비
- 경상북도 영주시 회헌로985번길 13 (순흥면)
위치보기 상세보기
-
- 구 영주역 5호 관사
- 경상북도 영주시 두서길 57 (영주동)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만간암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로621번길 118-7 (이산면, 무벽사)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부석사 범종각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56
위치보기 상세보기
-
- 구 영주역 7호 관사
- 경상북도 영주시 두서길 63 (영주동)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부석교회 구 본당
- 경상북도 영주시 소천로 27-1 (부석면)
위치보기 상세보기
-
-
- 흑석사마애삼존불상
- 경북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 산1380-1번지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소수박물관 소장 성학십도 판목
- 경상북도 영주시 소백로 2780 (순흥면, 소수박물관)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영주동 근대한옥
- 경상북도 영주시 구성로422번길 9-24 (영주동)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영광이발관
- 경상북도 영주시 광복로 15 (영주동, 영광이발관)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금광리 심원정
- 경상북도 영주시 평은면 금광리 913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소수박물관 소장 해동명적
- 경상북도 영주시 소백로 2780 (순흥면, 소수박물관)
위치보기 상세보기
-
-
- 영주 풍국정미소
- 경상북도 영주시 광복로 23 (영주동)
위치보기 상세보기
-
-
-
-
-
-
- 영주 부석사 안양루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로 345 (부석면, 부석사)
위치보기 상세보기
-
-
-
-
- 영주 식암 황섬 신도비
-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태장리 82-1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근대역사문화거리
- 경상북도 영주시 두서길 73-6 (영주동)
위치보기 상세보기
-
-
- 영주 유연당
-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로 282-5 (하망동)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신천리 월춘정
- 경상북도 영주시 간운로563번길 66 (이산면)
위치보기 상세보기
-
- 영주 석포리 까치구멍집
-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로654번길 1-35 (이산면)
위치보기 상세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