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주에게 물어봐!

검색
닫기

문화유산

무형문화재

장도(粧刀)는 몸에 지니는 조그마한 칼로서 남녀 구별없이 호신용 또는 장신구로 사용되었고 장도를 만드는 기술과 그 기술을 가진 사람을 장도장이라 한다. 고려시대부터 성인 남녀들이 호신용으로 지니고 다녔으며 특히 임진왜란(1592) 이후부터 사대부 양반가문의 부녀자들이 순결을 지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휴대했다. 조선 후기 이후부터는 손칼로서의 실질적인 기능보다 상징성과 장식성이 강조되어 여인들의 노리개장식 일부가 되면서 정교하고 화려한 장도가 다양하게 만들어졌다. 장도 중에서 몸에 차고 다니는 것을 패도(佩刀)라 하고, 주머니 속에 넣고 다니는 것을 낭도(囊刀)라 한다. 장도의 종류는 칼자루와 칼집의 종류에 따라서 은(銀)장도, 백옥(白玉)장도, 죽(竹)장도, 먹감장도, 오동(烏銅)장도, 대모(玳瑁)장도, 상아(象牙)장도 등이 있고, 형태로는 원통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이 있다. 호신과 장식의 구실을 한 장도는 조선 중기 이래 영주지방의 장도장이 유명했다. 김일갑씨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장도제작 기능을 전수받은 영주지방 유일의 전승자로 경상북도에서는 김일갑씨를 무형문화재로 인정하여 장도공예기술을 보전하고 있다.